독도지역에서의 초기 한국인에 대한 기록

울릉도의 한국인에 관한 한국, 유럽, 일본의 기록
이하의 페이지는, 선명한 그림을 위주로 독도-타케시마 논쟁의 무시된 부분을 밝히기 위해서 작성되었다. 18-19 세기 사이에 울릉도에서 한국인의 상황을 기술하고 있는 한국의 명백한 문서가 존재한다. 일본의 타케시마 로비스트는, 한국인이 기본적으로 출항하는 능력이 결여되고, 이와 같이 독도에 87 km를 항해할 수 없었던 농경인이었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상황을 정확하게 묘사한 것일까? 아래에는 초기 유럽의 탐험가들과 한국인 자신들의 몇 가지 참고기록이다. 거기에서 우리는 후기 조선시대 한국 선박의 몇 가지 이미지를 볼 수 있다. 한국인은 독도에 항해할 수 있었을까? 그리고, 그들은 섬을 인식하고 있었을까?

이 페이지는, 한국, 울릉도, 독도와 바다의 여러 섬 지역의 지도로 시작한다. 울릉도에 대한 한국의 역사적 요구는, 512A.D.로 거슬러 올라간다. 울릉도에서 87km 떨어져 있는 독도는 평균 1개월에 3회, 울릉도에서 볼 수 있다. 독도는 몇 몇 서양인들은 리앙쿠르 바위라고 부르고 일본인들은 타케시마라고 부른다.

위 왼쪽: 울릉도(독도 지역)의 전도. 한국인은 고대부터 독도의 가시거리 가까이 살았다. 위 오른쪽: 한국의 울릉도로부터 독도의 사진.
프랑스의 탐험가 라페르즈의 항해 일지 1787년 5월 27일- 유럽의 울릉도(Dagelet) 기록
“울릉도에서 중국식 배를 만드는 한국인 선박공..”
울릉도에 관한 최초의 유럽 기록은 프랑스의 탐험가 쟌­후란소와데Galaup (백작 데라페르즈(오른쪽 아래에 나타난다))에 의해서 쓰여졌다. 라페르즈는, 1785년에 태평양으로 탐험대를 이끌도록 임명되었다. 그의 배는 Astrolabe와 Boussole(두 선박 모두 500톤)이었다. 그들은 공급 물자 수송선이었다. 그리고, 임무를 위해서 호위함으로서 다시 명명되었다. 여기에서 한국인이 울릉도에 항해하고 있고, 적어도 2개의 다른 장소에서 중국의 스타일의 범선을 거기서 건조하고 있는 것을 최초로 기록되었다
“…..5월 27일 우리가 동해에 도착했다고 하는 신호가 온다. 잠시 뒤에 북북서에 지도에 없던 섬이 관찰되었다. 이 섬은, 조선 해안으로부터 20 리그(137 km) 떨어져 있는 것 같았다. 나는 섬에 접근하려고 했지만, 바람이 같은 방향이 아니었기 때문에 어려웠다. 다행히, 밤 사이에, 바람의 방향이 바뀌었다.

(5월 28일)새벽, 우리는 측량을 위해서 섬을 떠났다. 그리고, 나는 이 섬을 최초로 발견한 우리의 선원들 사이에 천문학자 Lapaute Dagelet의 이름 뒤의 Dagelet라는 이름을 붙이기로 결정했다. 섬의 둘레는 불과 3 리그(33 km)이다. 그리고, 우리가 1.9 km의 거리 주변에 머물면서 돌아보았지만 깊은 물은 발견하지 못했다.

따라서, 나는 소형 보트를 내리기로 결정하고, Boutin를 두고 수심을 체크하도록 통솔하고 육지에 내렸다. 그는 이 장소의 깊이가 140미터라고 말했다. 그리고, 위치는 섬으로부터 대략 200미터이었다. 섬은 북위 37.25, 그리고, 동경129.2’이었다…” (계속)

위 왼쪽: 라페르즈가 본 울릉도. 동쪽 향목으로부터의 울릉도 북서쪽의 숨막히는 멋진 경치. 위 오늘쪽: 1787년에 라페르즈가 그린 울릉도 지도
“…..섬이 높은 벼랑으로 되어 있지만, 여기서 해변까지는 매우 아름다운 나무로 덮혀있다. 7개의 작은 바위섬들이 험한 벼랑에 둘러싸여 있다. 섬 뒤에서 우리는 중국식 선박이 건조되고 있는 것을 보았다. 그들은 우리의 대포의 사정거리 안에 있었으므로, 선박건조공들은 놀란 것 같았다. 그들은 작업장에서 50걸음 뒤 숲속으로 도망쳤다. 그러나, 우리가 본 것은 양식도 없는 2-3 채의 오두막 집 뿐이었다…” (계속)
“..몇 몇 조선목공들은 여름동안 본토로부터 110 km 떨어진 다쥬레이서 여름동안 배를 만들고 있는 것 같았다. 나는 이 가정이 올바르다고 확신한다. 우리가 섬의 서쪽 지점으로 돌아왔을 때, 우리는 다시 다른 노동자가 보트를 만들고 있는 것을 보았다, 그러나, 한 곳의 땅이 그들의 시야를 차단했으므로, 그들은 우리가 접근하는 것을 보지 못했다. 나무의 뒤에 가린 사람들을 제외하고 그들은 우리를 만나는 것을 무서워하는 것처럼 보였다. 나는 우리가 정박할 곳을 찾은 것처럼 우리가 선인으로, 그들의 적이 아니라고 설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유감스럽게, 강한 조류가 우리를 섬으로부터 밀어내었다. 밤이 되었다. 우리가 섬으로부터 다시 밀려나갈지도 모른다고 염려하여, Boutin의 명령 아래 있던 보트를 회수할 수 없을까 걱정하여, 나는 M. Boutin(그는 상륙하려 하고 있었다)에게 신호하고, 그에게 돌아오도록 신호를 보내고, 서쪽에 멀리 있던 Astrolobe에게 명령하여, Boutin씨의 그룹에 접근하도록 했다. 운이 좋게도 Dagelet의 높은 산은 바람을 막아주어, 평화롭게 밤을 보냈다….”
“한국해협과 일본” Acteon 호를 승선한 William Blakeney의 기록(1859)
“한국인은、 판매하려는 해산물을 수집하기 위해서、 정크선으로 鬱陵島에 출항한다…”
鬱陵島의 한국인인 대한 유럽의 기록은 다른 자료에도 있다。 그리고、 그들은 위의 鬱陵島와 한국의 관계를 기술하는 점과 매우 같다。 「중국과 일본의 40년 전의 해변 위에서」(1902년에 발표) 라는 책에서、 위리암 브레이크니도 Dagelet(鬱陵島)에서、 한국인 해산물 채집자와 뱃사람을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The Actaeon hove to for a few hours off Dagelet Island, which emerges in solitary grandeur from the floor (2.000 feet deep) of the Japanese Sea, and rises to 4,000 feet above it. It lies 100 miles distant from the mainland of Korea, is clothed with forest from the verge of perpendicular cliffs of 500 feet, and is 20 miles in circumference. On every side were herds of seals, filling the air with sorrowful sounding cries, perhaps from terror at our appearing. We could make no headway through the dense undergrowth.

Acteon호는 鬱陵島(Dagelet)에서 2、3시간 정선했고、일본해의 바닥 깊이 2,000피트에서 수면위로 4、000피트까지 높이 솟아 있다。 그것은 한국의 본토로부터 100마일 멀리 떨어져 있는 곳으로、 500피트의 수직 벼랑의 구석에서 숲이 있고、 둘레는 20마일이다。 모든 주변에는 공기가 슬픈 소리로 크게 울리는 것 같고、우리를 공포에 싸이게 하였다。 우리는 짙은 숲 속의 잡초를 만나 앞으로 전진을 할 수 없었다。

La Perouse discovered this island in 1786, but there is no record of his landing. A few half-starved Korean fisherman were collecting sea-slugs, etc., for Chinese epicureans, but had only a ramshackle old junk in which to make the passage across a stormy sea in almost perpetual fog. A weird and lonely spot is Dagelet Island…”

라페르즈는 1786년에 이 섬을 발견했다。그러나、그의 상륙 기록은 없다。 몇 명의 굶주린 한국 어부가 거의 매일 안개 속에서 거친 바다로 나아가는 곧 부서질 것 같은 낡은 정크로 중국의 미식가들을 위해서 해삼과 그 외 해산물을 모으고 있었다。 이상하게 고립된 섬이 Dagelet섬이다…”

영국의 출판물「중국 파일럿」, 제4 판, 1864
“울릉도의 한국인은, 정크선을 건조하고, 한국의 본토(130 km)를 항해한다.
영국의 저서「중국 Pilot」은 온 세상의 항로 안내서로, 여러가지 해로, 몇 몇 섬과 상세한 부분을 설명했다. 1864년 판에서는, 울릉도에서 한국인이 중국 스타일 범선(정크)을 만들고, 전복 모으는 것을 기록하였다.

“..마츠시마 또는 Dagelet섬은 험한 원뿔 모양 언덕으로 둘러싸여 있다. 나무가 많이 나고, 중앙에 인상적인 산정상이 있다. 북위 37.30´N., 동경 130.53´E. 이 섬은 둘레가 18마일로, 형태는 반원, 동쪽과 북쪽, 그리고 서쪽에서 남쪽으로의 직경은 6.25마일이다. 각 해안 끝에서 급히 남방을 향한다.그리고, 몇개의 곡선에서 작은 바위가 섬의 남쪽의 끝으로 만나고 동서로 서서히 굽이친다…” (계속)

위 왼쪽: 구멍 바위 또는 코끼리 바위로 불리는 바위는 울릉도 북쪽기슭의 뒤에서 볼 수 있다. 위 오른쪽: 울릉도 북부의 송곳 산. 중국 Pilot 책에서 말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울릉도의 훌륭한 바위 구조는, 섬의 북쪽과 동쪽에 있다.
“…북쪽에서 동쪽으로 약 400~500피트의 높이의 몇개의 바위가 기슭을 따라서 있다. 그것들은, 섬과 같이 우뚝 솟아 있고, 위험성을 느끼지는 않는다. 그러나, Boussole바위 이외에는 절벽으로부터 4분의 1마일 이상으로 떨어지지 않았고, 크지 않다. 그리고, 그것은 섬의 동부의 기슭으로부터의 7개의 밧줄모양이다. 높이는 800피트로 매끈하지만, 매우 급한 원추형의 설탕덩어리(분명히 화강암이다.)같고 큰 구멍 또는 자연의 아치문을 통하는 것처럼 북쪽 기슭 위의 혈암은 주목할 만하다. 섬의 옆은 매우 가파르다. 수심 조사는 Actaeon호에서 가능한 것이다. 벼랑의 밑은 만쪽으로 배로 4마일에서 400 fathoms(2,400피트), 그리고 2.25 마일에서는 366 fathoms(2,996 피트) 에서도 바닥이 발견되지 않았다. 맑은날 작은 돌이 많은 해변에서 상륙을 어렵게 하고, 섬의 대부분은 완전히 가까이 가기에는 어렵다.

봄과 여름 사이에, 일부 한국인은 섬에 거주하고, 그들이 본토에서 타는 정크선(중국의 스타일 범선)을 만든다. 그들도, 대량의 전복을 따고 건조시킨다. 2, 3개의 철 못 이외에는 거의 나무로 고정시키는 방법을 택한다. 그들이 완전히 생나무를 사용하고 있어서 건조한 재목의 가치를 평가하지 못하는 것 같다.
….”

1870년 자연주의자 Arthur Adams의 Dagelet 기록
“울릉도의 보트 위에서 일하고 있는 한국인…”
아서 아담즈는, 아시아에서 항해한 영국의 의사이며 생물학자이었다. 아담즈는, 1843에서 1846에 사이 말레이 제도의 측량동안 영국 군함 Samarang호의 외과 조수였다. 그는, H.M.S.의 항해의 Samarang(1850) Zoology를 편집했다. 다음에, 그는 한국과 울릉도(Dagelet)로 여행을 떠난다. 그리고, 아래는 일본과 만주(1870)에서 자연주의자인 그가 출판한 이 여행기로부터 발췌한 내용이다. 아래에서 그는 보트를 수리하고 있는 한국인을 해설한다. 그러나, 그들이 전문대공 도구(큰 도끼)을 사용하고 있었다는 사실에서 그 어부는 배를 만들고 있던 것 같았다..
“…우리는 다음에 날씨가 좋은 어떤 날 6월 28일에 울릉도로 갔다. 그것은 라페르즈의 발견중의 하나로, 천문학자의 이름을 따서 Dagelet 이름을 붙였다…”

“…우리가 작은 만에 도착했을 때, 우리는 작업을 하는 3명의 불쌍한 한국인을 보았다. 우리는, 정확하게 라페르즈가 80년전에 본 그것들을 찾아냈으며, 그들은 큰 자귀(도끼와 같은 목공 도구)일하고 있었고, 낡은 배를 수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들은 1 달러에 300원 비율로 파는 중국의 시장을 위해서 많은 전복을 건조시키고 있었다. 그들은, 또한 강치고기를 많이 쌓아놓고 말리고 있었다. 한국 어부는 대량의 강치를 건조시키고, 기슭을 따라서 껍데기를 쌓아두었다….”

1882년 5월 조선 검찰사 이규원(檢察使李奎遠)의 울릉도 시찰
“울릉도의 주위의 여러 곳에서 배를 만들고 있는 조선인..”
1882년 고종은 울릉도에 검찰사를 보내어 울릉도에 일본인이 건너오거나, 불법적으로 벌채를 하는 것을 종결시키도록 했다. 또한. 전체의 섬을 조사하여 인구조사를 하였다. 아래는 이규원의 일기에서 발췌한 것이다. 거기서 그는 섬사람들이 매년 550km 이상 항해하여 전복과 미역을 따고 있었음을 기록하고 있다. 이규원의 일기는 일본 로비스트들이 한국어부들이 무지하여 섬안에서만 활동하던 농민이라고 묘사한 것과는 일치하지 않는다. 이 한국인들은 특히 전라도에서 온 사람들로, 선박 건조가 능숙하고 낚시와 항해가 능하였다. .
참고1.
三十日酉時量 抵泊于島之西邊 地名小黃土邱尾 浦邊 有結幕留住人 故詳細探問 則乃是全羅道興陽三島居 金載謹 率格卒二-三名 造船採藿云云 下陸止宿於船幕
이규원의 검찰기록 1882년 4월 30일 “. ..저는 밤새 항해했습니다. 4월 30일 5:00와 7:00 사이에 우리가 울릉도 황토구미의 서쪽에 도착하여, 저는 텐트에서 남자을 만났습니다. 그리고, 그가 누구인지를 대해 묻고, 그는 전라남도 삼도(거문도) 흥양에서 왔고, 이름은 김재근(金載謹)으로 2-3명의 노동자를 인도하여 왔다고 한다. 그들이 배를 제조하고 해초를 수확하고 있었다고 대답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육지로 가서, 텐트에 숙박했습니다….”
참고 2.
初三日 祭山神堂 踰嶺穿林 到黑斫支 種種有古人石葬 十里平原 可以生民之地也 下浦邊 乘小艇 搖櫓前進 有倡優岩 高可數千丈 形狀奇怪 腦有上下大小之穴 其傍又有燭台岩雙立 高爲數千丈 又有可居基址 卽三陟鄭姓人 壬辰避兵之處 八兄弟同榜進士之地云 而地名千年浦也 有一峰屹立中? 高爲數千丈 形如立錐 名之曰錐峰 其下有一大岩 中通大竅 形如城門 下有小川流下 大旱不渴 卽羅里洞伏流水瀉出云 經千年浦 到倭船艙 全羅道樂安居 船商李敬七 率格卒二十名 興海(전문:興陽)草島居 金謹瑞 率格卒十九名 各結幕造船 次次前進 漸入深谷 踰五大嶺 嶺路太峻 上幾接顚 下則當腦 最下有一嶺 名曰紅門街 踰此而入則 卽此島中心羅里洞也
이규원 검찰일기 기록 5월 3일 . ..”우리는 천년포를 지나 천부동(울릉도 북쪽)에 도착하였습니다. 거기에는 20명의 사공을 안내하고 있는 전라남도 낙안(樂安) 출신 이경칠이라고 하는 이름의 선박상인이었습니다. 거기서, 흥해 초도출신의 김근서는 19명의 사공을 거느리고 있었습니다. 양쪽 집단은 오두막을 건설하고 , 보트를 만들고 있었습니다…”
참고 3.
出做幕 下浦邊 全羅道興陽三島居 李(전문 卞)敬化 率格卒十三名 結幕採藿 仍乘船南? 海嶽之奇形怪狀 無非絶勝 到長斫之浦 興海(전문 興陽)草島居 金乃彦 率格卒十二名 結幕造船 日暮止宿
이규원의 검찰일기 기록 5월 5일“… ..장작지포(울릉도 남동쪽기슭)에 도착하니, 12명의 노동자 데리고 배를 만들고 있는 흥해 초도출신(전라남도)로부터의 김내은이라고 하는 남자가 있었습니다. 해가 졌으므로 저는 거기에 머물렀습니다…”
참고4.
初六日 自長斫之浦 向桶邱尾 海邊石逕上 立標木 長六尺 廣一尺 書之曰 大日本國松島槻谷 明治二年二月十三日 岩崎忠照建之 果如倭人問答 踰一大嶺 老木參天 積葉沒膝 絶壁陰崖之間 通一線小路 或存或無 及到中峰 無形而中斷 莫知所向 彷徨於深谷之間 無人可問 無地可憩 攀壁魚貫而進 行三數里許 ?到桶邱尾浦 大海無邊 寄岩重疊 俯仰景物 不覺心驚而神爽矣 浦邊 興陽草島居 金乃允 率格卒二十二名 結幕造船 氣盡脚麻 不得前進 仍爲止宿
이규원의 검찰일기 기록 5월 6일. “우리가 힘들게 도착한 곳은 넓은 바다와 절벽이 가로 놓인 통구미 해안(울릉도의 남쪽)으로여기에에 도착한 뒤, 저의 마음을 가라앉히고 힘을 얻었습니다. 김내윤이란 사람은 흥해 초도(전라남도)로부터 왔고, 그는 22명의 남자들을 이끌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오두막을 짓고 있고, 보트를 만들고 있었습니다. 나는 다리가 아파서 매우 걷기에 너무 지쳐 그날 거기에 머물렀습니다….”
1902 일본 외무성은, 한국의 울릉도를 보도한다.
“…울릉도에는 매년 전라남도 사람들이 약600km를 항해하고 있다…”
1902년 일본「외무성, 통상부, 문서국: 교역문서(외무성 통상국 편찬 통상휘찬): 부속서에「한국 울릉도 상황」의 제목은 상세하게 울릉도의 지리, 기후, 인구, 생산품, 상업, 어업, 교통, 선박계류와 유행병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 출판물 중에서, 거문도(三島) 지역으로부터 온 한국의 거주자 여러 명을 설명하는 짧은 인용이 있다. 그 내용은 이하와 같다:

“… 울릉도 섬과 한국의 본토의 사이에 교통이 없다. 섬의 한국인 거주자는 섬에 오기 위해서 일본의 배를 빌리는데 일년에 2,3회 뿐이다. 하지만, 전라도의 삼도(거문도)로부터 약20척(한국의)의 배가 겨울에 사용할 미역을 모으기 위해서 섬에 오고 만선을 해서 본토로 돌아간다…”

李奎遠의 1882년의 울릉도 검찰의 내용과 관련된 참조 내용으로부터, 한국인이 한국의 전라도 남쪽해안(매년 대략 600 km의 거리)를 항해하고 있었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위의 2개의 지도는 한반도이다. 붉은 선은, 조선의 배를 만드는 목수와 어부가 남쪽 전라도 섬으로부터 독도의 이웃의 울릉도까지 갔을지도 모르는 가능한 루트를 나타낸다. 역사의 문서는 3개의 지방, 특히 낙안(樂安),초도(草島)와 삼도(三島)를 언급한다. 그리고 삼도는 현재 거문도라는 이름으로 불리워지고 있다.
조선시대 배의 그림과 도면
아래 그림은 19 세기 후반에 서양에서볼 수 있는 한국의 최초 그림 몇개이다. 왼쪽의 그림은 지금까지 찍힌 최초의 한국의 사진으로 1871년의 연대를 나타낸다. 위 오른쪽의 그림은 중요하다. 1883 사진의 사람들은, 봄 마다 매년 울릉도에 자주 출항한 한국인인 것 같다. 이 사진은, 영국이 이섬을 점령했던 동안, Port 해밀튼(거문도)으로 명명하였다. 이 때에, 거문도는 한국의 러시아의 전진을 봉쇄하는 해군 기지였다. 우리는, 이 사람들이 어느 정도 궁핍했는지, 그리고, 李奎遠의 리포트 이외에는 왜 많은 기록이 왜 존재하지 않을까를 생각할 수 있다.

위의 그림은, 1871년 Felice Beato에 의해서 나포된 한국의 서해안의 근처의 한국의 범선이다. 오른쪽 위의 사진은 한국의 Port 해밀튼으로 영국의 신문사를 위해서 1883년에 찍은 사진이다. 그리고, 현재 거문도로 불리고 있다. 위의 지도를 보시오(이미지를 클릭하시오)
이 텍스트 아래에, 조선시대의 한국 배의 고전적인 모습이 있다. 1880년에 쓴 Opperts「Forbidden Land Voyage」에서 라페르즈는 중국해 Directory와 아래의 이미지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조선배가 얼마나 중국 정크를 닮아 있는지를 보기 바란다. 이 배에는30~40명이 탈 수 있다고 했지만, 필요하면 최고 60명이 들어갈 수 있었다. 설계가 엉성하다고 말하지만, 그들은 어떻게든 바다 500 km를 건너 가을에 돌아갈 수 있었다.

위 왼쪽: Philipp Franz Balthasar von Siebold의 역사기록에서 묘사된 한국의 배위에서 거니는 예술가. 대나무는 돛대와 지붕을 가리는데 사용되었고 철못은 한국의 낚싯배를 만드는데 사용되지 않았다. 위 오른쪽: 컴퓨터로, 전형적 조선시대 보트의 이미지를 시뮬레이션했다.
1880년에 E.오페르트가 쓴 “출입 금지 땅으로의 항해”
Ernst Jakob Oppert(1832년 12월 5일 – 1903년 9월 19일), 독일의 비지니스맨. 1880년에 그는 한국에 도착하고 Ein verschlossenes Land Reisen nach Corea라는 책을 출판했다. 그것은 당초 Leipzig Brockhaus에서 출판되고, 영어로도 번역되었다. “A Voyage to a Forbidden Land”라고 불리던 이 책은 한국의 어선과 어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하였다. 관련한 정보는, 이하와 같다:

“..한국의 낚싯배는 중국배보다는 일본 배를 닮았지만, 볼품없이 만들어졌고, 외부 후판은 나무 못으로 고정하고 항해를 하였다. 그 배는 갑판이 깊지는 않았지만, 몇 개의 가로지른 빔이 있어서 윗판은 열려 있고 물고기를 던져 넣을 수가 있었다. 이 배는 각각 약 30~40명의 남자들을 운반하는 것 같다. 그러나, 나는 선상에 60명의 선원이 탄 것을 보았다…”

처음 글에서는 한국의 배가 너무 품질이 좋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들은 어떤 화물 또는 선원도 상당히 많이 실을 수 있었다. 못을 사용하지 않고 만드는 것은, 한국의 선박 목수가 숙련된 목수인 것이 틀림없다는 것을 말해준다.
18~19世紀 사이 울릉도 조선인의 생활
울릉도에 살고 있는 조선인들은 누구였는가?
한국 고문서에는 6 세기부터 울릉도에 한국인이 살고 있었다고 하는 것을 기록하였다. 위의 역사 인용은, 울릉도에 의지하며 산 대다수의 한국인은 아니지만, 적어도 몇개의 그림을 보여준다.

이규원이 조사하고 1882년에 고종에게 제출한 보고서는, 울릉도에서 보트를 만들고 있는 한국인을 해설한다. 실제, 이 활동에 관계하는 사람은 거의 1만명이었다. 李奎遠은 한국인이 울릉도에서 전복을 위해서 보트 건조, 해초수집과 낚시에 관여하고 있다는 것을 정리했다.

영국인은 1864년에 울릉도를 조사했다. 그리고, 한국인은 울릉도에서「정크」또는 중국식 범선을 구축하고, 본토로 항해하고 있음을 보고했다. 이 리포트는 더 나아가, 이 사람들은 전복을 모으고 있는 한국인 어부로 기록하였다. 아서 아담의 일기는, 한국인이 울릉도 위에서 채집하는 것은 전복과 바다표범도 있었다고 말한다.

李奎遠이 조사하고 1882년에 고종에게 보고한 제출한 리포트는, 울릉도에서 보트를 만들고 있는 한국인을 해설한다. 실제, 이 활동에 관계하는 사람은 거의 1만명이었다. 李奎遠은 한국인이 울릉도에서 전복을 따고, 보트 건조, 해초수집과 낚시에 관여하고 있다고 정리했다.

이러한 문서 하나로서는 아무것도 아니지만, 여러가지를 정리할 때, 우리는 울릉도의 한국인의 모습을 만들수 있다. 이 사람들의 상당수는 매년 550 km항해한 일시적인 섬주민이었다. 그들은, 전라남도 초도, 거문도와 낙안으로부터 왔다. 그들이 정주자가 아니었기 때문에 그들의 식량을를 보충하기 위해서 울릉도 해양 자원에 의지했다고 하는 것을 알고 있다. 그들은 자급자족하는 어부로서, 울릉도 주위 바다를 건넜다.

18 세기 후반 매년 해양 자원을 모으고 출항하며, 배를 건조하는 울릉도 주변의 한국인들은 당연한 결론으로서 독도를 인식하고 있던 것이 틀림없다. 동해의 바람은, 서쪽에서 주로 분다. 독도는, 정확히 울릉도에서 몇 시간만 항해하면 보이며, 대략 30 km 정도부터 보인다. 게다가, 우리는 울릉도 꼭대기에서 독도가 보이는 것을 알고 있다..

타케시마를 시마네현에 돌려주기 위해서 로비 활동을 하는 일본의「역사가」들은 조선시대 한국인을 항해에 부적합하고, 농사만 짓던 육지에 같힌 농민으로 묘사하였지만, 이것은 잘못되었다. 조선시대의 한국인은, 매년 울릉도에 항해할 수 있었다. 조선시대 한국은, 대체로 항해를 주로하는 나라가 아니었지만, 그러나, 거기서 끊임 없이 공해에 용감하게 직면하고, 일본인들과 같이 울릉도 주위에서 해양 자원을 모은 사람들로서, 그들은 주로 반도의 남단으로부터 온 한국인 무리들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