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소개

독도 관련 웹사이트의 유래
2023년 말, 박천열 MBC 기자는 ‘독도 데이터 전쟁’이라는 제목의 다큐멘터리를 제작했습니다. 박천열 기자는 취재를 통해 한국의 독도 영유권 주장을 뒷받침하는 수많은 자료가 담긴 온라인 독도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하는 한 NGO를 발견했습니다.

호기심이 발동한 박 씨는 웹 마스터인 스티븐 J 바버가 거주하는 캐나다로 향했습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경산시는 바버 씨에게 2023년 독도 평화상을 수여했습니다. 박 씨는 바버 씨를 대신해 상을 받기로 했습니다. 약 17년 만에 독도재단의 관심을 끌었던 www.dokdo-takeshima.com.

하지만 이 웹사이트는 어떻게 시작되었나요…?

왼쪽 위: MBC 포항의 박천열 기자가 독도-다케시마닷컴 웹마스터 스티븐 바버를 대신해 독도재단의 2023 독도평화상을 수상하고 있다. 오른쪽 위: 스티븐 바버에게 독도평화상을 수여하는 모습.
저희 웹사이트는 이렇게 시작되었습니다.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이라면 누구나 독도와 다케시마 분쟁에 대해 알고 있습니다. 2006년,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이 논쟁적인 영토 문제의 역사에 대한 열띤 토론이 벌어졌을 때 바버 씨의 호기심은 최고조에 달했습니다. 처음에는 온라인에 역사적 자료가 부족했습니다. 종종 역사적 기록이 온라인에 게시되었다가 금방 사라지는 경우가 많았죠. 그래서 바버 씨는 이러한 귀중한 기록들을 모아 역사적 맥락과 이미지로 설명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한국 언론은 2007년경 www.dokdo-takeshima.com에 주목했습니다. 그 이후로 한국의 수많은 언론 매체에서 이 대규모 독도 관련 데이터베이스의 콘텐츠를 소개했습니다.
이 무렵 한국 언론과 동북아역사재단은 바버 씨의 노력에 주목하고 감사와 지지를 보냈습니다. 동북아역사재단은 이 웹사이트의 중요한 후원자가 될 것입니다. 이후 동북아역사재단은 울릉도와 독도에 대한 연구 현장 답사를 지원하게 됩니다.

회원 중 한 명인 곽구영 교수는 번역을 도와주겠다고 제안했습니다. 이 웹사이트 제작에는 일본과 한국의 네티즌들의 도움이 컸습니다. 대부분의 자료는 다케시마 로비스트들을 지원하는 일본의 온라인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져왔습니다. 이러한 기록은 전체가 제시되지 않았거나 잘못 해석되어 있습니다.

친구들에게 특별한 감사를 전합니다!
이 웹사이트는 저 혼자만의 노력이 아니라 다양한 계층과 국적의 사람들이 함께 노력한 결과물입니다. 독도다케시마닷컴의 데이터는 미국, 캐나다, 일본, 한국 네티즌들이 제공한 것입니다. 이 데이터를 영어로 전달할 능력이 부족한 훌륭한 연구자들이 많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그들의 지원과 노고에 감사드리고 싶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는 독도-다케시마닷컴을 ‘내 웹사이트’가 아니라 한국인을 위한 공간으로 생각하고 그들의 주장을 학문적이고 합리적인 방식으로 전달하려고 노력합니다. 가능한 경우 주요 역사적 지도와 기록의 이미지를 첨부하여 의견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왼쪽 위: (왼쪽부터) 오랫동안 울릉도에 거주한 진성 씨, 웹 마스터 스티븐 바버, 대한민국 독도경비대 추호, 캐나다 웹 디자이너 라이언 살리 등 독도다케시마닷컴 관계자들. 오른쪽 위: 독도-다케시마 웹사이트 팀이 독도의 유일한 영주권자인 김성도 씨와 그의 아내 김신열 씨와 함께 독도 서도에 있는 집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습니다.
웹 디자이너 – 기업가 ~ Ryan Saley

현재 대한민국 서울에서 근무하고 있는 라이언 살리는 캐나다인으로서 dokdo-takeshima.com에 전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Ryan은 미디어 및 비즈니스 분야에서 수십 년 이상의 경력을 쌓은 웹 디자이너입니다. 이 웹사이트의 제작은 라이언의 기술 지원과 의견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입니다.

2009년 5월 독도를 방문한 라이언 살리(오른쪽)가 작은 섬 동쪽의 군 망루 아래에 서 있습니다.

일본인 교수~호사카 유지

호사카 유주는 일본 도쿄에서 태어났습니다. 1979년 도쿄대학교를 졸업하고 1988년 서울로 건너와 한국과 일본의 관계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호사카 교수는 고려대학교 정치국제관계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15년 동안 한국에 거주한 후 2003년 한국으로 귀화했습니다. 이후 2005년 외교통상부 장관상을 수상했습니다.

호사카 유지 교수는 현재 세종대학교 교양대학 교수(일본학)로 재직 중입니다. 호사카 교수는 ‘일본 고지도에도 독도는 없다'(2005. 자음과모음출판사), ‘평화선의 정당성에 관한 연구’ 등 독도-다케시마 분쟁과 관련한 다수의 저서를 집필했다.

미국 교수 ~ 존 M. 반 다이크

법학 교수, 칼스미스 볼 학부 장학생, 리전트 우수 연구 메달리스트, 우수 교육 부문 대통령 표창 수상. 존 M. 밴 다이크 교수의 학력은 1964년 예일대학교 학사, 우등 졸업, 1967년 하버드 로스쿨 법학석사(JD, 우등 졸업) 등입니다. 반 다이크 교수는 식민지 시대의 토지 합병(예: 하와이) 해양 경계 분쟁, 국제법 및 해양법 등 독도 다케시마 분쟁과 관련된 전문 분야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배경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존 M 밴 다이크 교수는 2011년에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러나 그의 유산은 일본 식민지 시대 영유권 주장의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하도록 영감을 준 수많은 저작을 통해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원 ~ 유미림 씨

유미림 씨는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연구센터에서 근무하며 영토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독도 다케시마 분쟁을 오랫동안 연구해 온 유미림 씨는 지금도 열성적인 연구자입니다. 최근에는 일본 오키섬과 관련된 역사적 기록을 통해 일본이 독도에 대한 역사적 영유권이 없음을 의심할 여지없이 증명했습니다. 이 기록은 또한 1905년 일본의 독도 병합이 일본의 이전 경계를 확장한 영토 확장임을 보여주었습니다. ( 링크 )

유 씨는 2차 세계대전 이후와 독도에 관한 역사 연구도 해왔으며, 앞으로 이 시대에 대한 연구 결과도 발표할 예정입니다.

미국 학교 교사~마크 러브모

미니애폴리스 초등학교 교사 마크 러브모는 현재 일본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독도에 관한 독립적인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의 웹사이트는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링크 ‘원조 독도맨’으로 불리는 러브모 씨는 독도-다케시마 문제의 역사적 배경과 기원을 연구한 최초의 서양인 중 한 명입니다.

러브모 씨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연합군사령부의 독도 정책을 상세히 다룬 ‘독도에 관한 미국의 행동 연표’를 저술하기도 했습니다. 많은 기밀문서를 발견한 그의 글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도와 다케시마에 관한 미국 정부-군사 정책을 자세히 설명하는 가장 잘 연구된 글 중 하나로 남아 있습니다.

일본 저자: 히데키 가지무라 교수, 호리 카즈오 교수, 사토 쇼진 교수

위에 소개한 일본 연구자들은 독도에 대한 자국 정부의 거짓 주장에 정면으로 맞서는 성실함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아야 합니다. 독도-다케시마닷컴 연구자들은 ‘코리안 옵저버’의 여러 판에 게재된 기사를 통해 일본 국립문서보관소에서 일본의 전시 문서 원본을 입수할 수 있었습니다. 이 지도와 기록은 현재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과 한반도 병합이 불가분의 관계임을 입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웹마스터 스티븐 J 바버가 전하는 이 웹사이트에 대한 마지막 조언…
여기는 반일 웹사이트가 아닙니다!

일부 기사는 일본 정부에 비판적이지만 일본 국민에 대해 나쁜 감정은 없습니다. 수년간 온라인에서 독도에 대한 논쟁을 벌여온 결과 일본인들은 저를 매우 존중해 주었다고 솔직히 말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민족주의적 폭언과 적대감 없이 독도 분쟁에 대한 한국의 입장을 알리기 위해 이 웹사이트를 만들었습니다. 이 자료가 유익하고 교육적인 정보가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