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리긴세키(森琴石)의 1877년 일본과 조선지도는 독도가 한국영토라고 표시하였다

많은 일본의 메이지 시대 지도들은 독도가 한국영토라고 보여준다.
이 페이지는 독도를 조선의 일부라고 표시한 또 다른 일본 역사지도이다. 독도는 마츠시마(松島)라고 일본에 알려졌고, 유럽국가들에게는 Hornet 또는 리앙쿠르 암초(독도)라고 알려져왔다. 몇 가지 일본 지도들은 독도를 リユンコ-ルトロタク라고 카타카나로 표시하였다. 1870년~1880년 사이에, 울릉도와 독도 소유권에 대한 의문은 더 명확해진다. 문서들과 지도제작 추세에서 누가 이 섬을 소유하고 있었는지에 관한 명확한 자료가 많다.
따라서 왜 많은 일본의 국가지도가 울릉도와 독도를 제외하였는지 그 이유가 된다.
이 시대 전후의 지도는 이것을 반영하고 있으며, 그리고 아래 지도도 예외는 아니다. 모리 긴세키의 지도 역시 이 시대의 위치 잘못을 보여주지만, 우리는 울릉도(과거 일본이 말한 竹島) 그리고 독도 (과거 일본이 말한 松島)가 한국에 속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나아가 이 섬들은 한국의 강원도와 같은 색으로 채색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위 이미지는 모두 지도에 포함되어 있으며 조선(한국)의 부속된 지도는 청색으로 박스 표시되어 있다. 아래 두 지도들은 명확하게 울릉도와 독도를 표시하고 일본의 1850년 이전에 보였던 방식과 같은 이름을 붙였지만, 그러나 유럽인들 지도제작법과 탐험가들의 영향으로 더 서쪽 편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에는 위치의 잘못에 대해서 이 페이지에 더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링크)
Mori Kinseki의 1877년 전체적인 지도
Mori Kinseki의 그림은 독도 (과거 일본이 말한 松島)를 일본에서 제외시키고 한국의 섬 일부로 포함하였다.

위: 모리긴세키의 1877년 지도. 청색박스로 표시된 한국지도 그리고 일본의 먼 섬들과 수많은 영토들이 포함된 작은 부속 지도
모리 긴세키의 1877년 그림에서 울릉도와 독도 주변의 클로즈 업 이미지
모리긴세키의 1877년 그림에서 울릉도와 독도 주변의 클로즈 업 이미지들은 두 섬들이 조선(한국)의 부속된 지도에 포함되었고 강원도와 같은 색으로 되어 있다. 이 섬들은 물론 울릉도와 독도이다. 그것도 역시 한국의 부속된 지도에서 국경은 일본본토를 울릉도와 독도에서 의도적으로 분리하였다는 데서 가치가 있다. 이 시대에 그린 대부분의 많은 지도들처럼 모두 섬들은 대강 그린 모습이다. 모리긴세키의 지도 역시 울릉도와 독도가 Siebold의 1840년 지도 잘못 때문에 더 서쪽에 위치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위 이미지들: 클로즈 업된 그림이 보여주는 것은 울릉도와 독도가 한국의 강원도와 같은 색깔로 칠해져 있고 그리고 한국 지도의 경계가 일본과는 분리되어 있다.
모리 긴세키의 1877년 지도 제1부 – 일본의 외부 섬을 그린 부속지도
모리긴세키 지도에서 보여준 바는 독도를 더욱 확실하게 한국영토로 나타냈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는 조심스럽게 외부 작은 섬들과 최근까지 새로이 “획득”한 영토를 부속된 지도에 포함시키고 있음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그림에서 우리는 일본의 작은 섬들과 모든 주변을 그린 부속 지도들을 더 자세히 볼 수 있다. 몇 몇 일본의 작은 섬들과 매우 작고 먼 섬.

위 왼쪽에서 오른쪽: 지도 1. 쿠릴 섬 부속된 지도들. 지도 2. 일본의 오가사와라(Bonin 小笠原제도) 지도 3. 혼슈 남쪽의 이토 시치또(伊豆七島) 섬들. 지도 4. 오끼나와를 클로즈 업한 류큐 섬.(큰 이미지를 보려면 지도를 클릭하시오)
위 일본지도는 혹카이도 북쪽까지 연결되는 쿠릴열도이다.
아래에는 더 작은 지도들은 오가사와라 제도 그리고 이주시치또 열도 지도이다. 아래 오른쪽에는 류큐 섬들과 함께 상세한 오키나와 지도이다. 이들 부속된 지도들은 독도는 일본의 일부라고 생각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이 웹사이트 많은 지도들은 의심할 바 없이 역사적 그림들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상세한 모리긴세키의 1877년 지도 제2부 – 오키섬 그리고 바다 항로
또 다른 모리긴세키의 1877년 지도에서 재미있는 속성은 일본의 주변이 모두 점선으로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것들은 일본의 리(里) (1리=4km)로 나타낸 출발지와 도착지까지의 거리 항로를 보타낸 것이다. 독도는 일본의 혹카이도 그리고 쿠릴 섬들 부속지도에서 위치를 나타낸 지도제작만큼 중요한 것으로 표시되지 않고 있다.

우리는 여기서 일본의 오키섬(오른쪽)을 면밀히 조사해보면 독도 그리고 울릉도 쪽을 향하는 더 서쪽편으로는 섬이 없음을 볼 수 있다. 일본이 오키를 넘어 공식적으로 항해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1877년에 독도가 일본의 일부였다는 것을 부정하는 것이 된다.

위 오른쪽: 모리 긴세키의 1877년 클로즈 업된 지도에서 일본의 오키섬부터는 서쪽으로 항로가 없다. 오키섬은 역사적으로 일본의 서쪽 한계였다.
모리 긴세키의 1877년 한국 – 일본 지도. 광역 지도 분석에 근거한 결론
한국의 독도주장을 지지하는 또 하나의 역사적 자료
Mori Kinseki의 1877년 그림은 무엇이 포함되고 무엇이 빠졌는가를 통해서 어느 나라가 독도를 소유하였는지를 말해준다. 독도섬을 한국의 경계선 안에 포함시킴으로서 독도는 한국의 일부라는 것을 이해시켜준다. 일본의 먼 섬들로 표시된 많은 더 작은 지도들을 추가하여, 만약 모리 긴세키가 독도는 일본의 일부라고 생각했다면 독도-다케시마를 지도에 편입시켰겠지만, 그렇지 않았다. 추가적으로 일본은 전통적인 시마네현 오키섬 제도 서쪽 경계를 넘어 항해하는데 당시에 관심이 없었음을 말해준다.